https://www.paradedb.com/blog/lsm_trees_in_postgres
pg_search에 LSM 트리를 사용. 문제는 postgres의 replication 사용시 LSM 트리가 안전하지 않음
primary에서 VACUUM 동작시 에서 사용중인 튜플도 삭제할 가능성이 있음.
standby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중인 최저 트랜잭션 ID를 primary에게 알려주는 hot_standby_feedback을 사용하여 문제 해결
https://www.paradedb.com/blog/lsm_trees_in_postgres
pg_search에 LSM 트리를 사용. 문제는 postgres의 replication 사용시 LSM 트리가 안전하지 않음
primary에서 VACUUM 동작시 에서 사용중인 튜플도 삭제할 가능성이 있음.
standby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중인 최저 트랜잭션 ID를 primary에게 알려주는 hot_standby_feedback을 사용하여 문제 해결
https://datafusion.apache.org/blog/2025/06/30/cancellation/
tokio의 특성(Cooperative)상 poll이 제어권을 넘겨야 런타임이 다음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.
따라서 poll 안에서 pending이 될 때까지 무한 루프를 도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tokio 전체에 대해 budget을 두고 이 값이 0이 되면 무조건 pending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tokio에 들어가 있다.
https://www.paradedb.com/blog/lsm_trees_in_postgres pg_search에 LSM 트리를 사용. 문제는 postgres의 replication 사용시 LSM 트리가 안전하지 않음 primary에서 VAC...